반응형 경제 위기 투자3 경제불황 시 투자방법 1. 요약 경기침체는 곧 기회, 매수를 할 용기가 있어야 한다. 일단 올해 11월 이후에 주식 투자에 적극 들어가 보자. 2. 설명 사실 용기만이 아니고 돈도 있어야지… (튀어나와버린 마음…) 일단 “경기침체”라는 걸 어떻게 확인하느냐?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2020년 코로나 사태를 돌이켜 보자. 주식시장의 급격한 하락이 있었다. 지금의 코스피는 26,775로 2020년 코로나로 인해 떨어진 3월 지수값 16,055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다. 물론 20년 3월 이후 가장 높았던 작년 5월 지수값 33,155에 비하면 낮긴 하다. 그래도 경기침체라고 하기엔 부족하다. 그럼 코스피는 일정 지수 이하, 20,000 이하에 들어가는 걸로 한다. 이번엔 미국의 주식시장을 보자. 지.. 2022. 5. 23. [경제적 자유] 채권 투자 요약 채권은 경제적 자유의 도구 중 하나이니 신용등급, 이자율, 옵션을 고려하여 꼭 자산비중에 편입해야 한다. 기준금리가 이제 올랐으니 현재부터 발행되는 채권을 보자. 세부내용 채권 투자시 알아야 할 3가지: 신용등급, 이자율, 옵션 경기순환 주기인 2년인 점을 감안하여 몇몇 채권들의 신용등급, 표면금리는 다음과 같다. (채권 투자시 알아야 할 3가지 중 옵션은 좀 더 공부를 하고 봐야 해서 나중에 하기로 하자) 참고로 국채와 지방채는 만기가 너무길어 회사채만 적었다. - 현대두산인프라코어75(1년 11개월) 3.7% - 키움캐피탈89(2년) 1.65% - 대한항공99-1(2년) 4.286% - 두산302(1년 11개월) 5.4% - 중앙일보39(2년) 5.3% - BBB 두산퓨얼셀(녹)(2년) 3.81.. 2022. 5. 15. 달러를 없는데 투자해야 겠다면 답은 국채다 ㅇ요약 지금 달러가 없으면 국채를 샀다가 2023년말까지 팔아라. ㅇ생각 정리 이 전편 글에서 “경제 위기 때에는 달러를 사야한다”고 썼다. 그런데 사실 그 말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경제 위기가 올 즈음에 이미 안전자산인 달러는 올라 있으니까. “경제 위기 때 달러를 사야한다”가 아니라, 조금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달러 환율이 낮을 때 샀다가, 경제위기로 남들이 안전자산인 달러를 찾게 될때(수요 증가) 팔아야 한다”가 맞는 말이다. 즉 “경제위기 때 달러를 팔아야 한다”가 맞다. 그런데 지금의 나처럼 경제위기는 왔는데 사놓은 달러는 없고, 환율이 이미 높아 지금 사면 달러를 고점에 산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렇다면 어떤 투자를 해야 할까? 전편 글에서는 관망한다고 했지만, 그래도 준비는 해야지. 한번 생.. 2022. 5.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