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TPC

by 부자이웃 2024. 1. 25.
728x90
반응형

2024.1.24 수, 주식사기 좋은 날이었습니다. 통상 월말에 주가가 떨어지고 주중에는 수요일에 가장 떨어지니까요. 오늘의 "상한가 & 거래 천만주 이상"의 주식은 5개나 나왔습니다. 이중 TPC 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어제 종가 대비 29.97%(1,115원)이 올라 4,835원으로 마감했고 거래량은 12,653,794주 입니다.

 

회사 소개

공기압기기 및 모션사업, 3D프린터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종합 자동화 시스템 기업입니다. 이외에도 협동로봇, 스마트팩토리 융합 솔루션, 바이오-메카트로닉스(생명공학&기계·전자공학)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www.tpcpage.co.kr  

 

TPC 메카트로닉스 서비스 플랫폼

 

tpcpage.co.kr:443

대표이사 : 엄주섭, 엄재윤

설립일 : 1979.1.23

코스닥 상장일 : 2001.1.16

액면가 : 500원

발행주식수 : 15,697,991주

외국인지분률 : 0.24%

신용잔고비율 : 3.41%

주주현황 : 대표이사 및 그의 친족 등 특수관계인의 지분률 52.87%, 그 중 최대주주 엄재웅 12.58%

임직원 현황 : 임원 6명, 직원 329명(평균 근속연수 9.26년), 미등기임원 11명(1인평균 급여 77백만원/연)

계열사 : 

 

상한가 이유

지난 18일 본사(인천)에서 전 세계 협동로봇 2위 기업인 Techman Robot(TM로봇)과 공동개발을 포함한 기술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혀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247963i

 

[AI 종목 진단] TPC, 상한가 마감…대만 TM로봇 협력 부각

[AI 종목 진단] TPC, 상한가 마감…대만 TM로봇 협력 부각, 뉴스

www.hankyung.com

http://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0030

 

[특징주] TPC, 세계 협동로봇 2위 기업 TM로봇과 MOU 체결 '上'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

TPC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24일 오후 2시 51분 기준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8.63% 오른 4,805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1,126만 1,503건이다. 이는 TPC메카트로닉스가 지난 18일 인천 본사에

www.jeonmae.co.kr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투자 확대 등의 전망으로 작년 10월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97230

 

TPC 주가, 오전 가파른 상승세... 상한가 등극 - 금강일보

TPC의 주가가 장 시작 초반부터 상승세에 이어 상한가에 이름을 올렸다.TPC는 18일 오전 9시 14분 기준 전일 대비 29.97%(1040원) 오른 451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TPC는 글로벌 협동로봇 기업 테크맨과 엔

www.ggilbo.com

작년 8월에도 TM로봇 관련 해서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https://www.point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8316

 

TPC 주가 상한가…TM로봇·엔비디아 협력 소식에 부각 - 포인트데일리

[포인트데일리 엄현식 기자] TPC 주가가 대만의 테크맨로봇(TM로봇)과 엔비디아와의 협업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5분 기준 TPC 주가는 전 거

www.pointdaily.co.kr

 

재무 현황

  2018.12 2019.12 2020.12 2021.12 2022.12
매출액 1,046억원 1,011억원 886억원 870억원 943억원
  - 증가율 2.68% -3.38% -12.4% -1.82% 8.43%
영업이익 32억원 2억원 19억원 21억원 9억원
  - 증가율 -41.85% -94.48% 1020.58% 8.04% -56.87%
당기순이익 41억원 -41억원 41억원 20억원 3억원
부채 827억원 804억원 732억원 738억원 704억원
부채비율 275.25% 289.92% 228.02% 189.83% 164.63%
자본 301억원 227억원 321억원 389억원 427억원

 

2019년과 2022년  당기순이익의 원인을 알고 싶어집니다. 부채는 점차 줄어들고 자본은 증가하여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2022년에는 상품매출원가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철의 가격에 10%이상씩 상승한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2019년에는 전년도보다 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0억원, 잡손실 10억원, 이자비용 5억원 등이 늘어나 재무제표에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조사 후

공장 자동화 등은 AI에 따라 대세가 맞습니다만, 꼭 TPC여야 하는지는 확신을 가지지 못 했습니다. 조금 더 지켜봐야 겠습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스터블루  (1) 2024.01.25
코세스  (0) 2024.01.25
이미지스  (1) 2024.01.23
유니퀘스트  (0) 2024.01.23
네오셈  (1) 2024.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