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화
오늘의 상한가 및 거래량 천만주 이상인 주식은 바로 3S(삼에스코리아) 입니다.
29.88%가 올라 종가가 3,195원을 기록했고
거래량은 28,382,513주입니다.
회사 소개
반도체 웨이퍼캐리어박스(FOSB)와 환경시험장치 사업을 합니다.
반도체 웨이퍼캐리어박스는 완성한 웨이퍼를 반도체 생산업체로
운반하는데 이용하는 클린진공박스입니다.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특수용도 케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세계적으로 4개의 회사만이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이 회사가 유일합니다.
삼에스코리아
미래가치를 만드는 기업 3S KOREA. 냉난방공조 및 웨이퍼캐리어 전문업체
3sref.com
대표이사 : 김세환
설립일 : 1991.1.28
코스닥 상장일 : 2002.4.23
발행주식수 : 48,536,642주
외국인지분률 : 6.42%
상한가 이유
이름마저 처음들어서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는 회사인데
언론기사를 보니 오늘 뿐 아니라 '23.5월에도 상한가를 기록했었습니다.
일단 오늘 상한가를 기록한 이유는 세계 최초로 칩렛캐리어를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AI를 위한 고성능반도체를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칩렛'이라는 기술이 각광을 받을 것이고,
이를 위한 칩렛 공정용 캐리어를 만든 것입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D3XE6GIE1/GA0502
[특징주]3S, 세계 최초 칩렛캐리어 개발 200조 시장 선점...삼성전자 SK 웨이퍼 케리어도 공급
증권 > 종목·투자전략 뉴스: 3S(060310)가 세계 최초로 칩렛캐리어를 개발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반도체산업 패권을 좌...
www.sedaily.com
아래는 5월에 상한가 기록 시 언론기사입니다.
https://www.mk.co.kr/news/stock/10911420
특징주, 3S-반도체 재료/부품 테마 상승세에 29.88% ↑ - 매일경제
02일 반도체 재료/부품 테마가 전일 대비 3.29% 상승하면서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는 3S(060310)이 전일 대비 29.88% 상승하며 급등하고 있다. 3S은 웨이퍼캐리어 박스, 냉동공조용
www.mk.co.kr
https://www.etoday.co.kr/news/view/2253210
[특징주] 3S, 반도체株 훈풍 지속에 강세...국내 유일 반도체 웨이퍼 캐리어 생산 부각
최근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발 반도체 훈풍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에서 유일하게 반도체 웨이퍼캐리어를 공급하고 있는 3S가 강세다.30일 오후
www.etoday.co.kr
아래와 같이 과거에도 이미 언론의 조명을 받은 바 있습니다.
[코스닥스타를찾아서]3S,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국산화
국내 유일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양산 시장 점유율 15%→50%로 확대 목표 삼성전자와 신형 웨이퍼캐리어 개발中 반도체 소재·부품 국산화 바람에 주목받고 있는 기업이 있다. 1991년 설립돼 2002년
metroseoul.co.kr
재무 상태 등(전자공시)
2021.3 | 2022.3 | 2023.3 | |
매출액(억원) | 235 | 271 | 419 |
- 증가율(%) | - | 15.47 | 54.4 |
영업이익(억원) | -14 | 15 | 22 |
- 증가율(%) | - | 203.12 | 50.16 |
당기순이익(억원) | 7 | 12 | 14 |
부채(억원) | 181 | 268 | 217 |
부채비율(%) | 49.44 | 69.87 | 47.18 |
자본(억원) | 365 | 383 | 460 |
재무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입니다.
전자공시에서 사업계획서를 보니
주요 고객사가 삼성전자와 LG전자, 대유위니아, 한온시스템 등 입니다.
2023.7월 기준 최대주주 1인이 약 11%를 가지고 있는 점은
조금 아쉽습니다.
결론
상한가를 친 회사의 주식은 호재가 단기간에 없어지지 않습니다.
매출과 좋은 실적을 바탕으로 장기적으로도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합니다.
삼에스코리아는 국내 유일 웨이퍼캐리어박스 생산 및 납품업체라는
독점에 가까운 시장 영향력과 앞으로 반도체 시장이 곧 호황이
될 것이라는 믿음으로 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2021년 10월 4,755원, 2022년 5월 3,980원, 2023.5월 3,460원이
각 연도별 최고가임을 감안하고 투자시기를 잡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