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월), 코스피가 8.39p(-0.34%) 하락했습니다. 월말에는 떨어지고 월초에 오르는 것일까요?
코스피가 떨어져도 오늘의 "상한가 & 천만주 이상 거래"된 주식은 있습니다. 무려 4개 주식이나 됩니다. "상한가"나 "천만주 이상 거래"를 따로 하면 훨씬 많습니다.
4개 주식은 "어보브반도체(29.96%, 12,745,006주)", "비플라이소프트(29.4%, 13,427,329주)", "파워로직스(29.9%, 15,095,735주)", "네오셈(28.79%, 23,895,748주)" 입니다.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어보브반도체는 지난 금요일 종가 대비 29.96%(3,730원)이 올라 16,180원에 마감되었습니다.
회사 소개
비메모리 반도체 중 두뇌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인 Micro Controller Unit(MCU)를 설계·생산하는 팹리스 회사입니다. 제조는 파운드리 및 후공정 회사에 외주를 주고, 이 회사는 핵심 설계 및 외주관리를 통해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매출비중이 높은 기능별 제품은 Home Appliance이며 삼성전자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Motor, Power제어 및 BLE SoC 제품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1년~2022년에 걸쳐 지분을 취득하여 종속회사로 편입된 "(주)윈팩"을 통해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테스트 외주사업을 합니다.
홈페이지 : www.abov.co.kr
http://www.abov.co.kr
www.abov.co.kr
대표이사 : 최원, 김경호(각자대표)
설립일 : 2006.1.11
코스닥 상장일 : 2009.6.5
액면가 : 500원
발행주식수 : 17,780,853주
외국인지분률 : 2.02%
신용잔고비율 : 7.89%
주주현황 : 최원 등 특수관계인이 22.11%를 차지
임직원현황 : 임원 22명, 직원수 220명(평균 근속연수 6.5년), 미등기임원 17명(1인 평균 연급여액 383만원)
상한가 이유
온센서AI(On sensor AI)와 관련한 핵심 기업으로 부각되어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온센서AI는 센서의 기능에 통신·데이터 처리·인공지능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다양한 스마트 IT융합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기술 상용화에 나선 가운데, 어보브반도체는 온센서AI의 두뇌역할인 MCU(Micro Controller Unit) 개발을 마쳤습니다.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1778
[주식마감기사] 초전도체 테마주 기대감에 파워로직스 상한가... 어보브반도체, 오킨스전자, 픽
22일 파워로직스, 어보브반도체, 오킨스전자, 픽셀플러스, 슈프리마에이치큐, 엠에프엠코리아, 비플라이소프트가 상한가에 이름을 올리고 장을 마감한 가운데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다.이날
www.ggilbo.com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12213480935110
[MTN머니로 상한가 포착] 샘 올트먼, AI 반도체 네트워크 추진 소식에 '어보브반도체' 상한가
MTN NEWS
news.mtn.co.kr
과거에도 삼성과의 계약 체결로 상한가를 기록한 적이 있습니다.
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190https://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190
[주식마감기사] 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하림 상한가... 어보브반도체, 에이팩트, 서남,
19일 하림, 어보브반도체, 에이팩트, 서남, 큐리언트, 파멤신, 비유테크놀러지, 에이디칩스, 코다코가 상한가에 이름을 올리고 장을 마감한 가운데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겁다.이날 코스피 시장에
www.ggilbo.com
재무 상태
2020.12 | 2021.12 | 2022.12 | |
매출액 | 1,442억원 | 1,675억원 | 2,426억원 |
- 증가율 | 13.71% | 16.16% | 44.82% |
영업이익 | 176억원 | 176억원 | 258억원 |
- 증가율 | 26.54% | 0.01% | 46.55% |
당기순이익 | 140억원 | 137억원 | 127억원 |
부채 | 387억원 | 222억원 | 1,585억원 |
부채비율 | 38.24% | 19.84% | 91.56% |
자본 | 1,013억원 | 1,118억원 | 1,731억원 |
2022년의 부채가 큰 폭으로 증가한 이유는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한국수출입은행과 KDB산업은행에서 총 395억원의 단기차입금, 기타채무 100억원, 유동성장기차입금 135억원, 당기법인세 부채 104억원 등으로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이 중 가장 큰 규모인 금융기관 차입금 395억원은 2023.12월 만기가 도래하므로 올해 나올 제무재표를 확인해 보면 재무안정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두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해주었다는 사실 자체로도 재무적으로 튼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사 후
역시 대세는 반도체와 AI입니다. 어보브반도체가 가진 MCS 기술이 대기업에서 필요하니 당분간 주가가 오를거 같습니다. 참고로 52주 최고가 및 최저가는 각각 16,330원, 7,320원입니다.